(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승부

    2025년 초부터 유독 기다렸던 작품이 있었다. 바로 이병헌이 주연을 맡은 영화 승부.
    타이틀만 들어도 긴장감이 느껴지는 이 작품은 단순한 스포츠나 게임의 승패가 아닌, 사람과 사람 사이의 심리전, 치열한 인생의 갈림길에서 벌어지는 진짜 ‘승부’를 그린다. 영화를 보고 나니 제목이 왜 ‘승부’인지 아주 선명하게 와 닿았다.
    이병헌의 섬세한 연기와 더불어, 한국영화가 보여줄 수 있는 긴장감의 정점을 본 기분이었다.


    1. 줄거리 – 바둑판 위, 인생이 걸린 마지막 한 수


    승부는 실존 인물을 바탕으로 재구성된 바둑계의 전설적인 두 기사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인공 조훈(이병헌 분) 은 한 시대를 풍미한 천재 바둑 기사다. 하지만 시대가 바뀌고, 새로운 기풍을 가진 젊은 기사 이강현(유재명 분)이 떠오르면서
    조훈은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마지막 대국에 모든 것을 건다. 이 영화는 단순한 스포츠 대결이나 전기영화가 아니다.
    이병헌이 연기한 조훈은 외부로는 냉철하고 차가워 보이지만, 내면에는 과거의 상처와 끝없는 자기 의심이 자리잡고 있는 인물이다. 그는 바둑이라는 승부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자신의 모든 인간성을 걸고 싸운다. 반면 이강현은 신세대다운 과감함과 새로운 전략으로 기존의 기풍을 무너뜨리며 빠르게 떠오른다. 조훈과 이강현은 ‘승리’라는 같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지만, 그 목적과 방식은 완전히 다르다.
    두 사람의 마지막 대국은 영화의 클라이맥스로, 단순한 경기 장면이 아닌 두 사람의 철학과 인생이 맞붙는 심리전이다.
    그리고 이 대국을 통해 결국 드러나는 건 ‘이기는 것이 전부인가’, ‘지켜야 할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묵직한 질문이다.

    2. 느낀점 – 이병헌, 역시 이유가 있는 배우

     

    이병헌은 늘 기대 이상의 무게감을 보여주는 배우지만, 이번 승부에서의 연기는 정말 ‘몰입’ 그 자체였다.
    특히 그의 눈빛 하나, 손끝의 움직임 하나가 대사를 넘어서 감정을 설명해주는 순간들이 많았다. 바둑이라는 정적인 소재를 이렇게 팽팽하게 긴장감 넘치게 그릴 수 있다는 것 자체가 놀라웠다.
    가장 인상 깊었던 장면은 마지막 대국을 앞두고 조훈이 홀로 앉아 과거 자신의 수많은 대국을 되짚는 장면이었다.
    바둑판을 앞에 두고 무표정하게 앉아 있는 그의 모습은 누구보다 치열하게 살았던 한 인간의 ‘고요한 울부짖음’ 같았다.
    그리고 그런 감정을 이병헌은 과하지 않게, 절제된 감정선으로 완벽하게 표현해냈다.
    이 영화는 단지 바둑 이야기라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누구나 인생에서 맞이하게 되는 중요한 순간들, 그때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하고, 어떤 ‘수’를 둘 것인지를 고민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 선택 앞에서 ‘지지 않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걸 말해준다.
    감정적으로도 굉장히 깊은 영화였고, 끝까지 집중하게 만드는 연출도 좋았다. 한 수 한 수에 집중하게 되고,
    마치 나도 대국을 두는 것 같은 몰입감이 느껴졌다.

    3. 언제 보면 좋을지 추천 – 승패보다 중요한 ‘과정’이 궁금할 때

     

    이 영화는 단순한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이야기가 아니다. 어떤 수를 두고, 어떤 대가를 치르고, 어떤 마음으로 승부를 마주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그래서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보면 깊이 공감할 수 있다.
    결정 앞에 서 있을 때
    인생에서 중요한 선택을 앞두고 있다면, 승부는 생각할 시간을 준다. 이길 수 있는 길보다 어떤 ‘자세’로 임할 것인가가
    더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조용히 던진다.
    치열한 경쟁 속에서 지쳐 있을 때
    직장에서, 사회에서, 누구보다 잘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 속에서 지쳐 있는 요즘 사람들에게 이 영화는 ‘왜 내가 이 경쟁에 뛰어들었는가’를 다시 묻는다. 그 질문은 때로, 우리를 다시 숨 쉬게 만드는 힘이 되기도 한다.
    정적인 영화지만 강한 몰입감을 원할 때
    대사가 많지 않아도 감정이 전해지고, 움직임이 크지 않아도 긴장감이 느껴지는 작품을 찾는다면 승부는 최적의 선택이다.
    특히 심리극에 가까운 연출 덕분에, 한 번 보기 시작하면 중간에 멈출 수가 없다.

    반응형